2020년 한국-베트남 수출입 동향

2020년 한국-베트남 수출입 동향
2021년 2월
한국무역협회 호치민지부
베트남 수출입동향
1. 총괄
□ ’20년 베트남 수출은 2,826.5억 달러, 수입은 2,627억 달러, 무역수지는 199.5억 달러 흑자를 기록
ㅇ ’20년 베트남 수출은 전년 대비 7.0%, 수입은 전년 대비 3.7% 증가
ㅇ ’20년 12월에는, 수출입이 전월대비 11.3% 증가하였으며 무역수지는 2.5억 달러 적자를 기록
□ FDI 기업들의 수출입은 3,719억 달러로 전년 대비 11.8% 증가
ㅇ FDI 기업 수출은 2,028.9억 달러로 전년 대비 10.7% 증가하였고 수입은 1,690.1억 달러로 전년 대비 13.1% 증가
최근 베트남 수출입실적
2. 품목별 수출입 동향
□ 수출
ㅇ ’20년 베트남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82.9억 달러 증가함
- 1위 수출품은 휴대폰 및 부품으로 전년 대비 0.4% 수출 감소하였으며 주요국으로 수출이 증가하였으나 미국과 한국 수출이 전년 대비 각각 1.2%, 11% 감소하며 역성장함
- 2위 수출품은 컴퓨터·전자제품 및 부품으로 전년 대비 24.1% 증가하였으며 3위는 섬유·의류(9.2% 감소), 4위는 기계 공구 및 부품(48.6% 증가), 5위는 신발(8.3% 감소)을 기록함
- 전자제품과 관련된 품목은 코로나 상황에서도 수출이 큰 폭으로 늘었으나 의류, 신발 등의 소비재는 수요 감소와 함께 수출이 큰 폭으로 감소함
ㅇ 12월 수출은 전월 대비 9.6% 증가하였으며 섬유·의류가 전월 대비 26.3% 증가하면서 수출 증가를 이끎
주요품목별 수출실적
□ 수입
ㅇ ’20년 베트남 수입은 전년 대비 93.1억 달러 증가하였으며 주요 증가품목은 컴퓨터·전자제품 및 부품(24.6% 증가), 휴대폰 및 부품(13.9% 증가) 등이 있음
- 수입 1위 품목인 컴퓨터·전자제품 및 부품의 큰 폭의 증가가 눈에 띄며 중국으로의 수입이 전년 대비 52% 증가하며 그 동안 1위 수입국이던 한국을 넘어서 1위 수입국으로 올라섬. 한국은 전년 대비 1.7% 증가하는데 그쳐 2위를 기록함
- 수입 4위 품목인 휴대폰 및 부품의 최대 수입 대상 국가는 한국과 중국으로 전체 수입의 93%를 차지함. 중국은 1위 수입대상국으로 78억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한국은 2위로 77억 달러를 베트남에 수출함
주요품목별 수입실적
3. 국가별 수출입 동향
ㅇ ’20년 베트남의 1위 교역 시장은 아시아로서 교역액은 3,529.7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4.2% 증가함
- 미주지역은 전년 동기대비 16.2% 증가한 1,120.2억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그 중 미국 수출은 25.7%로 증가폭이 가장 큼
- 3위 교역시장은 유럽으로 전년 대비 3.1% 감소한 638.5억 달러를 기록함
ㅇ ’20년 한국은 전년에 이어 베트남의 4위 수출대상국이며 2위 수입대상국임
’20년 베트남 국가별 수출입 실적
ㅇ ’20년 베트남의 주요 수출국은 미국(771억 달러), 중국(489억 달러), 일본(193억 달러) 등이며 그 중 대미, 대중수출이 큰 폭으로 증가함
’20년 베트남 국가별 수출 실적
ㅇ ’20년 베트남의 주요 수입국은 중국(842억 달러), 한국(469억 달러)이며 중국산 수입이 크게 증가함
’20년 베트남 국가별 수입 실적
한-베트남 수출입 동향
1. 총괄
ㅇ ’20년 베트남은 한국의 3위 수출 대상국, 5위 수입 대상국
- 수출 1위국은 중국, 2위국 미국, 뒤를 이어 베트남이 3위 수출국
- 수입은 중국, 미국, 일본, 독일, 베트남 순
ㅇ ’20년 對베트남 수출은 전년 동기대비 0.8% 증가한 485억 달러를 기록. 수입은 2.3% 감소한 205억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무역수지는 279억 달러의 흑자 시현
- ’20년 기준 베트남은 홍콩에 이은 2위 무역흑자국
ㅇ 지난 몇 년간 급격히 증가하던 양국간 교역은 ’18년 이후 비슷한 수준의 교역량을 유지하고 있음
- ’19년의 미중무역분쟁, ’20년의 코로나로 인한 세계교역 감소 상황을 고려하면 추후 양국 간 교역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임
對베트남 수출입실적
2. 품목별 수출 동향
ㅇ 우리나라의 對베트남 수출품은 대부분 우리기업의 현지 제조 생산 품목의 부품, 원자재이며 베트남의 전자제품 수출 증가와 함께 관련 품목의 베트남 수출이 증가함
- 반도체, 평판디스플레이 및 센서, 무선통신기기의 수출이 전년 대비 큰 폭으로 증가함
- 반면 코로나로 인한 의류, 신발의 소비 감소에 따라 관련 자재(편직물)의 대 베트남 수출은 전년 대비 14.6% 감소함
주요 수출 품목
3. 품목별 수입 동향
ㅇ 우리나라의 對베트남 수입품목은 소비재 완성품으로서 무선통신기기(휴대폰), 의류가 전체 수입의 대부분을 차지함
- 코로나로 인한 소비 감소의 영향으로 무선통신기기, 의류, 신변잡화의 수입이 전년 대비 각 각 12.5%, 13.7%, 2.2% 감소함
- 반면 온라인수업의 확대로 인한 컴퓨터 수요의 증가로 컴퓨터 수입이 전년 대비 87.1% 증가함
주요 수입 품목
< 끝 >